부의 상징인 재벌회사 정몽헌 회장이 현대사옥 고층빌딩에서 몸을 던져
스스로 목숨을 끊었을 때, 온 국민들은 경악했다.
정몽헌 회장쯤 되면 남부러울 것 없이 돈으로는 성공한 사례이며
그런 위치에 오르는 것을 목표 삼아 삶의 의지를 키워 나가기도 한다.
그런데 자신들이 삶의 목표인 부자의 표본이 된 사람이
어느 날 갑자기 자살을 했을 때 사람들은 가치관의 혼돈을 느끼며
일시적인 공백상태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홍콩 영화배우 장국영의 자살로 인하여
그의 팬들이 느꼈던 정신적 공황도
그와 흡사한 경우일 것이다.
부와 명예와 자부심의 배우가 자살한다는 것에 의아함이다
모 시의 시장인 부와 명예의 상징인 시장의 한강다리 자살도 그렇다
모든 사람들이 명예와 권력의 상징인 사람이 죽음은 가치관을 흔들었다.
이은주의 자살이 우리 사회에 던지는 충격도 그와 흡사하다.
그녀는 이제 막 대학을 졸업한 사회초년생이지만
이미 영화배우로서 정상에 올라선 스타이다.
그녀의 화려한 성공과 미래는 같은 또래의 청소년들의 목표인
부러움과 선망의 대상일 수밖에 없다.
그런데 그 이은주가 자살을 하자
사람들은 가치관의 혼란과 변화에 어리둥절해 하며 충격에 빠지는 것이다.
자살사고는 한두건이 아니라 많은데도 불구하고
왜 우리는 이렇게 특별한 사람의 자살에 충격을 받는가?
그것은 성공의 가치관의 혼란인 것이다
우리는 소위 성공은 돈을 많이 벌어 부자가 되고
그 다음에는 명예를 얻고 권력을 얻는 것이 통상적인 가치관이다
그렇게 어렸을 때 부터 배웠기에 돈 명예 권력이 성공이라 생각하고
그것이 바른 가치라 생각하고 공부하며 그것을 이루려 노력한다
그러나 부와 돈과 명예와 권력과 자존심은
위의 사례로 보아 그것이 올바른 삶의 목표가 아닌 것이다
돈과 명예와 권력과 자존심이 삶의 올바른 참된 성공이 아니기에
가치관의 혼돈과 다시 어떤 성공의 가치관이 중요한가?
또는 삶의 목표수정의 혼란에 대해 충격을 느끼는 것이다.
그렇다면 삶의 목적과 성공무엇이냐에 대한 충격이다
올바르게 참된 가치관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충격이다
이은주의 유서에는
"자존심이 바닥을 쳤다" 라는 구절도 있다.
그 자존심과 자아도 올바른 가치관이 될 수가 없다
올바른 가치관이란 자기가 아닌 남에게 두어야 한다
남을 사랑하고 섬기고 봉사하는 것이 참된 가치관이다
우리가 예수를 믿을 때 이미 예수와 함께 육체와 정과 욕심을
십자가에 못박아 예수와 함께 자아와 자존심이 죽고
예수와 함께 부활했으니
이제 내가 사는 것이 아니요 내안에 그리스도가 사는 것이라
이제 내가 육체 가운데 사는 것은 나를 사랑하사
나를 위하여 자기 몸을 버리신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 안에서 사는 것이라
이미 "나"라는 모든 것은 이미 예수와 함께 죽은 것이다
자존심이든 자아든 욕심이든...
예수 믿는 사람은 다음 고백이 있어야 한다
내가 예수안에서의 자존심과 자아도 죽어 남이 살고 그래서 내가 산다
즉 내가 죽어 남이 살고 그래서 나는 산다
그러나
자살이란
자기가 죽어 자기도 죽고 남도 죽인다는 것이다
담대하게 살어 !!!!!!!
당당하게 살어 !!!!!!!
죽지마 !!!!!
자살하지 마 !!!!!
좀 뻔뻔해도 돼!!!!!!
차라리 뻔뻔하게 살아!!!!!
우리 이 삶의 자체가 연극인것이야 !!!!!
우리 이 삶의 자체가 영화인것이야 !!!!!
우리 이 삶의 자체가
놀이인것이야 !!!!!
하나님께 감사하고 충성하고 영화롭게 하는 일과
남을 사랑하고 봉사하고 섬기는것에 심각한 것 이외에는
너무 심각하게 살지마 !!!!!!!!
재미있게 살어 !!!!!
삶을 재미있게 봐 !!!
영화처럼 !!!
감사해 !!!!!
범사에 모든 일에 항상 감사해 !!!!!
자살하지 마 !!!!!
죽지마 !!!!!
(이은주 씨의 죽음에 깊은 애도를 표하며 슬퍼하는 유가족들에게 위로와 용기를 보냅니다.)
'깨어있는관찰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차원의 올바른 기도 (0) | 2005.03.02 |
---|---|
제부도와 대부도를 거쳐 오이도로... (0) | 2005.03.01 |
믿음만 가지고는 안된다 (0) | 2005.03.01 |
정치인들의 재산증식으로 본 부자와 가난한 자 (0) | 2005.03.01 |
이천 설봉산 의자 (0) | 2005.03.01 |